Exhibition: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2007.11.09 – 2008.02.03

There is a wonderful photo exhibit,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at the Ilmin museum of art right next to 광화문 station of the works of 정해창, whose 1929 exhibition was the first private photographic art exhibit in Korea. The exhibition is both artistic and in a sense historiographical as it also displays a number of photos of the 1929 and other exhibits by 정해창.

I visited the exhibit with two friends, including 우물 안 개구리 contributor Kim Gyewon, who was briefly in Seoul. Gyewon is much better qualified to speak about the content of the exhibition, but I will just note that it was fascinating to see the selection of subjects and the range of styles of photography used, as well as snapshots of colonial period lives in Korea.

You can read more about the exhibition and 정해창 at the Ilmin museum linked above and in some of these articles and postings (1, 2, 3)

Brochure blurb below: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20세기 초, 서양문물의 유입과 일본유학을 통해 신문화를 접하게 되었던 지식인들에게 이제까지 경험하지 못했던 문화적 표현방식들은 신선한 충격이었을 것입니다.

정해창선생은 일본 유학길에 사진기라는 경이로운 물체를 접하고 귀국한 후, 사진작업에 몰두하며 다가오는 세계에 대한 흥분과 기대를 과학적인 방식으로 접근하고자했고, 서예와 전각에 전념하며 자신의 취미 벽(癖)을 공공화(公共化)하고자 했습니다.

근대의 인문적 시각문화를 되짚어 현대를 알고자 노력해온 일민미술관은 무허 정해창선생 탄생 100년을 맞아 벽(癖)의 예찬- 근대인 정해창을 말하다 전을 열면서 한 개인이 당시에 일으킨 센세이션과 후대에 미친 역량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전시가 우리의 일상문화가 나아갈 길에 작은 지표를 제시할 수 있길 기대합니다.

일민미술관

*

이 전시는 1929년 우리나라 최초로 ‘예술사진개인전람회’를 열었던 무허( 舞 虛) 정해창 선생의 탄생 100주년을 맞이하여 개최하는 기념전시회이다.

1907년에 태어난 정해창은 보성고등보통학교를 졸업 후 일본으로 유학을 떠나 독일어를 전공하면서 그림과 사진을 배웠으며, 금석학 연구를 위해 중국유학을 다녀온 근대지식인의 한 전형이었다. 그는 해방 이전 사진가와 서도전각가로 활동했으며, 해방 이후에는 금석학 연구 및 불교미술사 연구에 전념하면서 미술평론가로 활동하기도 했다.

본 전시는 이처럼 다양한 예술 및 학문 연구 활동을 한 그의 삶의 궤적을 따라 근대지식인의 한 전형을 살펴보고, 딜레탕트의 한계를 넘어 취미를 벽의 수준으로까지 끌어올린 그의 문화예술 관련 작품들을 새롭게 조명하고자 한다.

이 전시는 정해창의 예술활동 영역에 따라 크게 제1부 ‘사진인문학을 열다’와 제2부 ‘서도전각의 길을 가다’의 2부문으로 나누었다. 제1부는 1929년부터 1939년까지 사진가로서 활동한 시기의 사진작품들을 중심으로 구성하였으며, 제2부는 1941년 서도전각전 의 개최 이후 서예가와 전각가로 활동했던 시기의 서예 및 전각 작품들로 꾸몄다.

이번에 처음 공개되는 정해창의 빈티지프린트는 한국근대사진사연구에 있어 소중한 실물자료이자 일제강점기에 우리나라 사람이 촬영한 몇 안 되는 근대기록물 중의 하나이다. 또한 해방 이후 전국을 답사하면서 촬영한 총 2,483점의 불교미술사진은 근대시각문화유산이라 할 만하다.

식민지 지식인으로서 전통문화에 대한 재인식을 통해 민족의식을 고취한 정해창은 평생 ‘조선적인 것’을 쫓아 사진에서 서예와 전각으로 그리고 우리나라 불교미술 연구의 길로 걸어갔다. 그 과정에서 그가 성취한 예술작품과 연구 성과들은 우리에게 문화적 자산으로 남겨졌다. 이번 전시가 그가 남긴 자료들을 발굴・정리・복원하여 정해창이라는 근대적 텍스트를 다시 읽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이경민 (객원기획, 사진아카이브연구소 연구원)

Leave a Reply

This site uses Akismet to reduce spam. Learn how your comment data is processed.

Mastodon